cjlook`s expression

'of life'에 해당되는 글 105건

  1. 2010.08.15 몇 가지 생각할 거리들..
  2. 2010.08.01 빠직
  3. 2010.07.11 또다른 Blog 3
  4. 2010.06.06 계획과 습관
  5. 2009.12.16 Extra Work 1
  6. 2009.10.20 감따먹기
  7. 2009.06.06 cjlook's 지식재료 보관함
  8. 2008.04.10 국회의원 선거 요약
  9. 2008.03.06 CareerLeader Result 2
  10. 2008.02.17 우유부단 test


1. Californication

몇주전 Hangover를 보고 한바탕 웃고나서 기분이 좋아졌었다. 그러한 기분전환이 하고 싶어 미국식 유머를 찾아서 Tistory 검색창에 '영화 추천 코믹' 으로 검색하다가 어떤 미국 드라마 전문 Blogger를 통해 Californication을 알게 되었고 캘리포니아의 분위기가 그리워 보게 되었다.

미친듯이 웃고 기분 전환하는 목적에는 맞지 않았지만
데이비드 듀코브니가 연기하는 소설가의 흐느적거리는 캘리포니아에서의 자유로운 삶과 도로 주변으로 보이는 풍경들은 마음에 들었다.

그러다 회를 거듭할 수록 똑같은 상황과 쓸데없이 야한 내용이 식상해 지기 시작했고
그쯤해서 그만 보는게 나을 것 같아 멈췄다.
맛있는 음식을 약간 모자를듯 할때 멈추는게 현명한 것 처럼...  

2. Blog의 유쾌함

네이트온을 하다 가끔 블로그 처럼 올라오던 어떤 형의 싸이가 생각이나서 들어가 보게 되었고, 거기에 써놓은 너무나도 유쾌한 글들을 보면서 이런게 소소한 일상에서 즐거움을 찾는 블로그의 원래 의미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한 유쾌함의 대부분은 글쓴이 자신을 낮추는데 있다.

언제가 보았던 책에서 진정한 신사의 유머는 자기에 관한 얘기를 잼있게 하는 것이고 자기를 비하하며 남에게 웃음을 줄 수 있는것은 그 만큼 자기 자신에 자신감이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여긴 어떤가? 친구 녀석의 평가는 평소에는 안그러는 놈이 왜 이렇게 심각하느냐 였다. 그리고 생각해 보면 여기는 온갖 존경의 욕구로만 가득하다. 

이제 Blog에 유쾌함을 추가해야 겠다.

3. iphone4

결국 아이폰4로 결정한 이후 한달째 기다리고 있다.
발매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KT 지인을 통해 내부정보도 받았다. 요즈음은 워낙 정보가 빠르다 보니 특별함이 오래가진 않았지만) 문제가 생겼다.

아이폰 기사를 찾아보다 스마트폰 관련 기사를 무심코 보다 보면 2시간이 훌쩍 지나 있다. 어느날은 평일 퇴근 후 3시간을 오로지 스마트폰에 관한 서치로 다 써버리는 것이다.

안되겠다 싶어 나의 Iphone 활용에 대해 정리하고 다시 쳐다 보지 않기로 했다.

- 메일, RSS, 연락쳐, 스케쥴, Task 관리를 Google로 통합. (아이폰인데 왠 구글로 통합이냐 하겠지만 현재 Outlook 위주인 나는 구글로 통합을 결정했다. 안드로이드냐 애플이냐는 또 얘기가 길어지니 생략)
- 동강, ibooks(돈 좀 깨지겠다.)로 짜투리 시간 활용
- 주식, 경제 등 관심사항에 대한 실시간 관리 system   
- portable이 가능하면서 재대로된 Mindmap의 노트 활용  
- MP3, youtube로 기분전환

몇가지 추가는 되겠지만, 엣지있는 아이폰 활용을 위해 시간투자는 안하겠다고 다짐했다.
스마트폰이 흔해지면서 모임에서 밥먹을때도 스마트 폰만 보는 사람이 많아졌고 지하철에서 책보는 사람보다 스마트폰 보는 사람이 많아진듯 하다.

자극에 약한 나는 그나마 몇장이라도 책을 읽는 자기전 시간과 이동시간을 뺏기지 않기 위해서는 그리고 이러한 성향과 적절하게 타협하기 위해서는 지금 부터 다짐 따위의 것들이 필요한 것이다.   

4. Twitter

요새 트위터가 그 야말로 핫 하다.
트윗.. 한줄로 자기 나타내기.
한줄의 간편함, 접근의 용의함(스마트폰...)이 여러 세대를 아우르며 트위터 열풍을 만들고 있다.
나는 Blog에 역부족을 느낀 사람들이 어쩔 수 없이 선택하는게 트위터라고 생각한다. 
Blog의 넓은 백지의 부담을 느끼다 두 줄의 꽉찬 느낌에 흐뭇해 하는...   

나는 사진을 싫어한다. 그리고 트윗을 싫어한다.
하지만 사실 나는 사진을 좋아하고 트윗질을 좋아하는 사람을 이해한다.

나도 여행중 힘들게 하루일과를 글로 옮기기 힘들고 일요일마다 블로그 포스팅을 위해 고민하며 글쓰는 것도 귀찮다. 나도 셔터 한방으로 일상 한줄로 끝내고 싶다. 

하지만 내 사진을 찍고 현재 위치를 트윗으로 중계하기에는 나에 대한 자신도 없고 감추고 싶은게 많다. 
 
그래서 고의적으로 셀카찍는 사람들을 무시하고 트윗터를 글솜씨 없는 사람들의 자기 드러내기라고 폄하하는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도 혼자서 꿎꿎히 블로깅을 할 생각이다.

빠직

of life l 2010. 8. 1. 19:55

며칠전 헬스장에서 예전에 정환이형이 알려준 Death Lift를 하다가 오른쪽 허리에서 '빠직' 하는 느낌과 함께 통증이 있어 운동을 중단하고 돌아왔다. 가벼운 근육통이었고 3일정도 지나니 통증이 사라졌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니 이번일은 조금 특별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까지 운동하면서 부딯히거나 넘어져서 멍들고, 깨지고, 인대가 늘어나는 경우는 다반사였고 그닥 심각하게 생각 안하고 낫기를 별걱정없이 기다리는 편이다. 나는 내 능력보다 의욕이 앞서 몸을 막굴리는 타입이다. 

또 헬스나 운동, 행군을 하고 근육이 피로하여 알이 베기거나 걷기 힘든 느낌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이번 경우는 다르다. 무산소 운동이고 안정적인 자세에서 평소와 같이 역기를 드는데 몸에 탈이 난적은 없었다. 무리한 무게를 들더라도 못들고 역기를 떨어뜨리는 경우는 있었지만 다친적은 없었다.
 
이런 낯선 경험을 하고 내린 결론은 이제 드디어 때가 온것이라는 것이다. 이번 일은 아마도 몸의 유연성이 떨어졌거나 근육의 탄력이 떨어져 탈이 낫을 것이고 고로 이제는 운동을 '조심히' 해야 될 때가 온것이다. 의욕만 가지고 강하게 몸을 혹사시키고 시원하게 샤워하고 느끼는 상쾌함을 이제는 자유롭게 즐길수 없는 것이다. 지금까지 무리한 운동을 다음날의 컨디션이나 알이 베기는 것으로 워닝을 줬다면 이제는 무리하면 그 즉시 통증으로 워닝을 준다.

조심 조심 해가며 운동을 해야 할 생각을 하니 허탈함이 밀려온다.
물론 숫자적으로 봐도 그럴때가 되었지만. 쩝  

또다른 Blog

of life l 2010. 7. 11. 17:41

오늘의 말씀인 다윗의 5개의 돌에도 겸손이 포함되었다. 

겸손... 참으로 어려운 숙제이다. 지금 생활에 만족 못하고 방황하는 것도 어쩌면 겸손하지 못해서 일 수도 있다. 니깟 녀석이 얼마나 대단하길래.. 가끔씩 느껴지는 사회의 냉철한 눈으로 벗겨질때 세삼 겸손해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언젠가 나의 장점(코어 컴피턴시? ㅎㅎ)를 생각해 볼때 겸손을 생각해본적이 있다. 사실 겸손이라는 의미라기 보다 can be humble 에 가깝다. 표현 하긴 어렵지만.

난 그 어떤 누추한 곳에서도 잘 수 있고, 30만 킬로미터를 주행한 차를 타며 만족 할 수 있고, 어디든 걸어 갈 수 있다. 

겸손하곤 의미가 좀 다를지 모르지만 필요하다면 나는 한없이 나를 낮출 수 있다. 주위를 돌아보면 그럴 수 있는 것은 어떤이들은 할 수 없는 나의 경쟁력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아직 몇가지 부분에서는 도저히 겸손할 수 없다. 
그중에 하나가 '투자' 다. 
나는 투자, 구체적으로 '투자와 도박을 구분하는 판단력'은 평균이상이라고 자만한다. 어쩌면 가장 겸손해야 하는 상황에서 겸손하지 못한 것일지도 모르겠지만......

그렇다고 내가 투자를 통해 소위말하는 대박을 내본적도 없고 큰 투자를 해본적도 없다.
단지 경제와 기업에 관심이 많았고 흐름을 읽고 전망하는 것을 즐겼다. 그리고 이제는 이론적으로나 경험적으로 일정 수준에 왔다고 생각한다. 일정 수준이라는 것은 시장 참여자의 평균 이상 즉 평균 정도인 프로들(펀드 매니저, 애널리스트들..) 보다 낫다고 생각한다. (정말 겸손하지 못하다.) 

그리고 이제는 이를 표현해볼려고 한다. 팍스넷과 같은 인터넷에 넘치는 주식쟁이의 쪽집게 종목 추천 과 다를게 없지만 나의 견해를 밝히고 평가도 받고 소통도 해보고자 한다. 그것이 Blog 형식이는 게시판 형식이든..

사실 이 Blog의 하나의 카테로리로 만들려고도 생각해 봤지만 철저한 익명성이 중요하고 이 blog는 어느정도 나에 대해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새로운 Blog를 만들기로 했다.  

몇주 하다가 귀찮아서 접거나 반응이 전혀 없거나 할 가능성이 크지만 그러면서 좀더 겸손해 질 수 있다면 그걸로 의미가 있으니까.. 

계획과 습관

of life l 2010. 6. 6. 16:38

나를 아는 사람은 내가 얼마나 계획 세우기를 좋아한다는 것을 알것이다. 
그리고 그 계획은 단지 계획에서 끝난다는 것도 알것이다.

마인드맵을 익힌 이후에는 무엇인가 시작될 때 항상 계획을 세우고 있고
금연이라던지 운동 계획과 같은 지켜지지 않을 '구호' 따위를 책상에 붙여 놓았었다.  붙이는 행위 자체만으로 목표에 가까워 진 느낌이 좋아서 일수도 있다 

사회로 다시나온 올해도 역시 계획을 세웠다. 그 계획이 어느정도 완성된게 1분기가 끝날때 쯤이어서 문제지만.

지금까지 살면서 습관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충분히 깨닫고 있다. 
사실 지금의 생활은 5년전 아침에 출근 차안에서 음악 대신에 영어 MP3를 틀었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래서 이번에는 1년 계획과 함께 가져야 할 습관과 버려야할 습관을 계획하기로 했다.
그리고 1년간의 목표 달성을 위해 습관들과 Link 를 시켜보고자 했다. 그러면 조금더 실천 가능하지 않을까.

올해 꼭 만들 습관들 중에는

일요일 오후 시간은 약속은 되도록 피하고 혼자만의 시간을 습관적으로 갖는 계획도 있다.

사실 일요일 오후에는 집에서 뒹굴 거리며 혼자있는 경우가 많지만 여기서 혼자만의 '시간' 이라는 것은 '생각' 에 가깝다. 이걸 실천하려면 집에서는 어렵다는 판단으로 집밖 적당한 장소도 물색했고 2주째 지키고 있다. 비록 3시간정도의 시간이지만 상당히 유익함을 느낀다.

새로운 습관이 생기는데 66일이 걸린다고한다. 매주 1번인 습관이니 66주간 지켜지길 바라고 그에 따라 Blogging도 활발해 지길 기대해 본다. 

Extra Work

of life l 2009. 12. 16. 17:54

어제로 MBA Candidate에서 Candidate를 떼게 되었다. 아직 정식 학위를 받은건 아니지만 마지막 시험을 끝으로 모든 일정이 끝난것이다.

내심 뿌듯한 성취감을 기대 했지만 왠지모를 허탈함과 아쉬움에 이런 감정들을 털어내기 위해서 2년을 정리하고 싶어졌다.

어느새 책장을 꽉채운 책들과 제본된 노트들을 보면서 입학전 배움에 대한 갈증이 이제는 익사할 지경이다. 무엇보다 물 떠마시는 법을 배운것이 큰 수확이고 앞으로 살면서 갈증이 생길때 마다 여기서 익힌 물 떠먹는 법으로 한 모금씩 넘치지 않게 떠마시는 일이 관건이다.

또 많다면 많고 적다면 적은 동기들 거의 전부와 언제 보더라도 반가워 할 관계가 된 것 역시 소중한 기회를 통해서 얻은 수확이다. 

그리고 교환 학생으로 다녀온 미국 MBA 과정에서의 경험과 그야말로 쾌청한 태양 아래서의 즐거운 생활들은 당분산 해외에 대한 막연한 동경을 없에 줄 것이고 벤처캐피탈에서의 인턴, 문구회사 컨설팅, 전통주 공모전은 각각 재무, 조직관리, 마케팅의 실습의 장을 마련해 주었다.

과거를 돌아보지 말고 미래를 생각하라고들 하지만 앞으로 인생을 살면서 계속 돌아보며 즐거워 할 수 밖에 없는 MBA가 되었다.   

감따먹기

of life l 2009. 10. 20. 03:23

감따먹기....

작년 어느날 선배가 심각한 표정으로 Lab에 들어왔다.

왜그러냐고 물어보니 교수님 하교 면담을 하고 왔는데 교수님이'감을 따라' 라는 말에 생각이 많아 졌단다.

내용인 즉슨, 
심도있는 공부를 통해 뜻한바를 이룬 선배는 향 후 학습 방향에 대한 논의를 위해 교수님을 찾았고
교수님은 이론에서 그치지 않는 실제 사회에서 감을 얻을 수 있는 으른바 경지(?)에 도전 하라는 의미로 
"감을 따라"
라고 말했다는 것이다.

어찌보면 시기상으로 지금의 내가 작년 그 때 선배와 같다.

그래서 비록 그 선배 처럼 천재적이지도 않고 학업을 통해 이룬바도 없지만 감따먹는데 도전하고자 한다.
(단지,  더 이상 심도있는 공부를 하기에는 시기적으로나 정신적, 육체적으로나 버겁다는 이유로...)

이러한 의지로 몇달간 밀린 RSS feed의 경제신문 과 전자신문 수천여개의 관심 기사를 2시간에 걸쳐 봤다.



감따먹기 첫번째로 다우산업의 10,000 돌파에 대한 얘기를 하고 싶다.

지난주 다우산업 지수가 10000을 돌파하고 다시 밑으로 내려가더니 이시각 현재  10,100을 돌파하고 있다.
어느정도 10,000에 안착 했다라고 볼수 있겠다.

사실 작년 다우산업이 10,000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미국에서 보면서 작은 충격을 받은 기억이 난다. 
몇년전만 해도 미국 증시조차도 관심이 없던터라 다우산업의 최소 단위는 만인줄 알았었는데 그 밑으로 간게 영 어색했던 모양이다.

이 후 금융위기가 본격적으로 시작 되고 다시 회복 하면서 구직자의 입장에서 누구보다 경제 회복을 바랬던 상황해서
혼자 마음속으로 다우산업의 10,000을 경제 회복의 상징으로 생각했었다.
다우산업이 10,000 되기 전에는 주위에서 아무리 경제 회복이라고 떠들어도 동요되지 않겠노라고.  

그러던 다우산업이 어느새 10,000을 돌파했다. 그리고 나도 경제 회복이 되고 있다고 인정하기로 했다.
그러면 이제는 이런 회복이 어느 정도 까지 갈 것이며 언제까지 갈것이냐라는게 문제다.
(사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세계 석학부터 너도 나도 더블딥, 출구전략 어쩌구 하면서 수개월간 갑논을박 하고 있는 문제이다. 단지 나만 지금 부터 고민해보겠다는 것이고...)

개인적으로 더블딥은 없고 2010의 완만한 성장과 2011의 고속 성장을 통한 금융위기 이전의 호황기 수준을 넘어서는 급격한 경제상승기가 올 것이라고 어설프게나마 전망한다. 

사실 경제 전망이라는 것이 석학들도 전망하기를 꺼리는 잘해야 본전이고 못하면 망신인 설레발이고 향 후에 이 entry를 다시 볼때면 낯뜨거울 상황이 또 될테지만 감따먹기로 한 이상 깨끗하게 전망해본다.

이런 전망의 이유는 금융시스템이 발달로 망할때도 한방에 훅가지만 살아날 때도 마찮가지 일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시장의 신뢰와 소비 위축과 팽창, credit, 기업의 투자와 고용으로 나타나는 반응들이 내눈에는 너무나 빨라진것 같기 때문이다. 

내친김에 하나 더 전망 하자면 같은 사유로 금융위기로 불리는 경제 침체기가 가까운 미래에 다시 올 것 같다. IT 버블로 부터 10년, 대공황으로 부터 100년 만의 경제 위기가 앞으로는 5년 혹은 3년마다 나타나고 그 기간이 계속 짧아 질것같다. 그리고 회복도 그만큼 빨라져 변동성이 매우 커질 것 같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경제상황에 따라 희비와 명암이 엇갈리는 직종의 사람들은 목숨이 3년 마다 위태위태 할 것이고 또 3년 마다 대박이 날것이고 또 시기에 따라 널뛰기만 잘해도 부자될 기회는 많아 질 것이다...

그때를 대비해서 많이 배우고 또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 보자는게 내 감따먹기의 첫번째 감이다. ^^

 


 

우선 근 1년만의 Blog를 다시 시작하게 되었다. 수년간 Blog의 목숨을 이어가고 있는데 생각해 보면 극도로 심심할 때 마다 entry가 늘어가고 있다. 이렇게 평생을 끌고 가면서 살면서 극도로 심심한 경우가 얼마나 되는지 카운트 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실로 오랜만에 하는 Blog의 주제는 지난 4개월간 성공적으로 체득했다고 자평할 수 있는 '지식재료 보관함' 이다. '지식재료 보관함' 에는 어쩌면 copyright을 붙여야 할 지 모르겠다. 왜냐하면 MBA를 준비하면서 우연히 알게된 blog(http://blog.naver.com/polylogue_) 에서 지식재료 보관함을 볼 때가 마침 년초라 한해를 잘 보내야 겠다는 마음으로 차근 차근 따라해본 결과이기 때문이다.

그 Blog의 주인님의 제안은 outlook, 다이어리, mindmap의 모듈을 활용한 지식저장이었는데 outlook과 블랙잭의 연동을 즐기고 프랭클린 플래너를 쓰고 있던차라 mindmap을 익히고 적용하는데는 크게 어렵지 않았고 지금까지 이 모듈을 쓰고 있는걸 보면 결과적으로 큰 도움이 되었다. 물론 copyright을 가지고 있는 polylogue님 만큼 활용은 못했겠지만 ....   

내가 했던 과정은 Mindmap을 통해 기간(10년, 1년, 6개월 등)에 따라 목표를 세우고 세부 사항을 정리하고 이렇게 정리된 계획에 따라 Outlook의 일정과 Task를 통해 관리하고 이를 블랙잭을 통해 notice 되면서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어떻게 실행했었는지 살펴 보면

1. Mindmap

장기적인 인생의 목적이나 Career의 Goal과 같은 목표는 여전히 구체화 하지 못했지만 Mindmap 관련 책을 보면서 'MBA 후의 나의 모습' 을 그리고 '이번 학기 목표'를 세웠고, '원하는 Job'을 Mindmap으로 그려보면서 그 효과를 체험할 수 있었다.


2. Outlook

기존에 Outlook을 메일이나 일정관리 수준에서 사용하고 있었지만 이번을 계기로 목표에 따른 일정 관리와 TASK 그리고 Mail 저장으로 활용하였고 특히 추전해준 RSS를 통해 쓰레기와 같은 인터넷 뉴스에서 허우적 되던 시간들을 줄 일 수 있었다. 

3. 플랭클린 플래너

플랭클린 플래너에게 지식재료라고 불리긴 미흡했지만 휴대성을 활용하여 책 제목과 같은 정보나 순간 순간 떠오르는 task를 정리하여 outlook으로 이동하게 해주는 역활을 줌으로써 수년동안 날짜가 있는 diary의 역활 이상을 줄 수 있었다.   

4. 블랙잭

마지막으로 이러한 과정이 PC와의 연동을 통해 블랙잭의 홈스킨상에 일정과 task에 표시됨으로써 매번 잊어먹고 놓치던 여러 event를 잡을 수 있었다.

물론 그동안 내용이 미흡하고 일정에 늦고 빠뜨리고 각 목표 달성에 여지없이 실패한건 여전하지만 미흡하고 실패한 과정을 순간 순간 캐치할 수 있었고 정신 없이 바쁘게 지낸 와중에도 무언가 놓치지 않았을 까 하는 불안감은 많은 부분 해소되었다. 평소 남이 만든 길을 단순히 따라가는 것을 자존심 상해 하는 나지만 '지식재료 보관함'은 그 길 자체로 즐거웠고 만족스럽다. 트랙백으로나마 원작자 Polylogue님께 감사한 마음을 전달 하고 싶다.

cjlook      

국회의원 선거 요약

of life l 2008. 4. 10. 00:09
국회 의원 선거가 끝났다.

긴말이 필요 없이 짧게 요약 할 수 있겠다.

한나라당 공천에서 한 지역구에 홍정욱, 유정현 몰리더니
둘다 떨어지고 둘다 전략공천 받았다.
그리고 모두 당선됬다.

한쪽 마음대로 되는 세상이다. 

CareerLeader Result

of life l 2008. 3. 6. 19:14
HBS에서 만들었다는 자기 진단 및 Career 진단 Tool인 CareerLeader를 완료했다.

결과는

Prepared for JongHyun Shon    March 6, 2008

This section contains the most important issues for you to consider as you explore different careers. These issues are likely to determine how happy and successful you are in your career.

Interests
You have a notable interest in one core element of business work:

  • Quantitative Analysis

You are very interested in Quantitative Analysis, one of the essential activities in business work. You enjoy using mathematical analysis to solve problems. Whether you work as a manager, executive, consultant, or in any other role, you'll be drawn to the "numbers side" of the business. You may be attracted to businesses (such as financial services, management consulting, and accounting) in which top-notch quantitative analysis directly drives the company's success. Quantitative analysis can take many forms (e.g., everything from market research analysi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to compensation and benefits consulting and research analysis). However, business professionals with a strong interest in this area often gravitate toward financial roles, whether in some aspect of financial services or as finance professionals in an operating company.

You're likely to enjoy work activities such as:

  • performing cash-flow analyses
  • analyzing the future performance of an investment instrument
  • determining the optimal debt-to-equity structure for a company
  • discovering what a firm's balance sheet reveals about the company's current financial status
  • interpreting the spreadsheets behind a market analysis
  • analyzing market research
  • building a computer model to determine optimal inventory planning
  • deciding whether the assumptions behind a business plan or sales forecast make sense

Of course, having a strong interest in Quantitative Analysis doesn't necessarily mean you have the skills you need to succeed in a career in which that activity is a predominant part of the work. But people often develop abilities where their interests lie. So don't let a lack of training or prior experience with quantitative analysis keep you from gaining the knowledge or strengthening the skills you'll need to express this interest.

Your interests are the single most important factor in your happiness
and success.


Organizational Culture
You would fit best in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is a bit reserved and on the polite side. In such companies, departments, and teams, a lot of the work is done independently, behind closed doors -- or at least with some privacy and allowance for focus and concentration. Boisterousness and aggressive behavior definitely run counter to the norm in this kind of culture. People who thrive in such organizations generally view social and business "networking" as a chore to be avoided or minimized, rather than as a fundamental -- and fun -- part of work. Your tendency in this direction is very strong, so you'll want to pay close attention to this aspect of any organization you consider working for. For tips on how to examine an organizational culture in this regard, click here.

You would feel most comfortable in a culture characterized by immediacy and spontaneity. In such organizations, departments, and teams, people value getting things done -- now -- over precision and perfection. A group whose work requires taking immediate action based on limited information (the trading floor of a commodities exchange, for example) would have this culture. Groups that do a lot of their work on deadline, without time to dot all the "i's" and cross all the "t's," will likely embody strong elements of this culture as well. The creative area of an advertising firm might be one example. Your tendency in this regard is very strong, so pay close attention to this aspect of any organization you consider working for. For tips on how to examine this aspect of an organizational culture, go to click here.

You would feel most comfortable in an organization whose operations are characterized by savvy, time-tested pragmatism. In such companies, departments, and teams, people believe that minimizing risk is more important than trying something new that might backfire or result in only a marginal gain. (Companies and brands that dominate their markets often fit this description.) In these cultures, playing a conservative game, getting things done well -- and demonstrating competency in fundamental skill areas -- are the keys to career success. Stability and consistency also carry much weight. "Steady as she goes" could be the unspoken motto among people who thrive in such work environments. You have a very strong tendency in this direction, so pay close attention to this aspect of any organization you consider working for. For tips on how to examine an organizational culture in this regard, click here.

You would enjoy a culture that has a competitive spirit (internally as well as against industry rivals) and that encourages healthy conflict. In such companies, departments, and teams, competition for resources and personal rewards (bonuses, promotions, etc.) is fostered by management, and people engage in skeptical and critical examination of ideas as a normal part of assessing business situations and making decisions. People who thrive in these work environments tend to feel comfortable with conflict. They have no qualms about challenging co-workers when they think doing so will shed helpful light on a business decision -- or will give them the advantage in a negotiation or debate. Your tendency in this direction is very strong, so pay close attention to this aspect of any organization you consider working for. For tips on how to examine an organizational culture in this regard, click here.


Abilities
You have a number of strengths, including:

  • Assertiveness: Able to defend a point of view and to confront others appropriately when necessary.
  • Comfort with Risk: Takes risks when appropriate, isn't afraid to innovate and experiment.
  • Creative Thinking: Able to think creatively, generating new ideas and approaches to situations.
  • Critical Thinking: Able to think critically (define a problem and determine the information needed to solve it; understand unspoken assumptions; form and test hypotheses; and judge the validity of conclusions).
  • Empathy Skills: Can see things from other people's points of view.
  • Flexibility: Adapts easily to changing situations and is able to adopt new approaches when necessary.
  • Listening Skills: Listens to other people in a way that they feel understood.
  • Quick Thinking: Picks up new ideas and processes new information quickly and easily.
  • Strategic Thinking: A strategic thinker: able to grasp the big picture and think long-term.

You also recognize some weaknesses in your business skill set:

  • Multiple-focus: Able to juggle many projects and responsibilities at once.
  • Oral Communication: A skillful public speaker, good at presenting ideas and plans in a persuasive manner.
  • Resilience: Handles pressure and stress well.
  • Respect for Others: Respectful of other people's points of view, as well as their time and priorities.
  • Sensitivity and Tact: Sensitive and tacful: promotes an atmosphere of good feeling and mutual consideration.
  • Time Management: Manages own time well.
  • Work Ethic: Has a strong work ethic, willing to make sacrifices to achieve important goals.

One or more of these weaknesses might stand in the way of your career success.

  Get some advice about how to develop those skills. []

You have a weak interest in Creative Production but put a high estimate on your ability to be creative. How is this possible? This is a great example of the difference between an interest and an ability: We can all do many things that we have little interest in doing. (For example, perhaps you're great at coming up with new marketing plans and advertising ideas, but you're far more passionate about the investment business.) Don't fall into the trap of pursuing a career you're not interested in just because you could be good at it!

Motivators (i.e. Work Reward Values)
You place a very high value on these rewards:

  • Autonomy (the position offers considerable autonomy and independence)
  • Lifestyle (the position allows ample time to pursue other important aspects of my lifestyle -- family, leisure activities, etc.)

These are your most powerful motivators in work situations. You won't be happy for long if you find yourself employed in a position where you can't earn these rewards. Likewise, you'll want to avoid reporting to a manager who won't provide you with opportunities to earn these rewards.

You're also motivated by:

  • Intellectual Challenge (the position offers consistent intellectual challenge)
  • Positioning (the position offers experience and access to people and opportunities that will position me well for my next career move)
  • Prestige (the position is with an organization that is prestigious in its field)
  • Security (the position offers a great deal of security in terms of predictable salary, benefits, and future employment)

These are significant motivators for you. However, you may be willing to trade one or more of them for something else that a particular work opportunity offers (such as a desirable geographic location).


Finding the right organizational culture is about more than being happy. It can determine whether you succeed or fail.


Things to Be Alert For -- On the Job and In a Job Search

Your interest in Influence through Language and Ideas and your assessment of your abilities in the areas of Projection of Confidence, Oral Communication, and Sociability are notably low. This suggests that you might not present yourself in as positive light as possible during job interviews. We strongly recommend that, before meeting with a potential employer, you practice responding to likely interview questions, and ask for specific feedback on your interviewing style from a coach or practice partner. You don't want to "under-sell" yourself during interviews!

CareerLeader analyzes your results along four important personal/career dimensions: (1) being sociable, assertive, and outgoing; (2) being creative, curious, and open to new ideas; (3) being sympathetic, trusting, and generous; and (4) being conscientious, self-disciplined, and attentive to detail. Your scores on all four of these dimensions are in the low range. A possible explanation for this is that you responded negatively to many of the choices as you went through the test. Because of this, CareerLeader isn't able to point to specific dangers you should watch out for as you continue on your career path. (You might consider taking the assessment again at some future date.)

But we still want to alert you to several pitfalls that present a danger to everyone, and that have derailed more than one career:

  • Walking into a mismatch between you and your organization's overall culture. A cultural mismatch can lead not just to unhappiness, but also to outright career failure.
  • Basing career decisions on what you're good at, even if you're not all that interested in it. Your interests, not your abilities, are your long-term competitive advantage -- and they're the "energy" that powers your career. If you're not really interested in the work, the people who are will ultimately pass you by.
  • Failing to develop and maintain a professional network within and outside the company you work for. An internal network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 unspoken norms and politics of the company. Your "outside" network can be especially valuable if you're laid off. It can also help you compare compensation and learn how people doing similar work in other companies deal with the challenges they face.
--------------------------------------------------------------------------------

이다.
내가 개발하고 싶은 창의성이나 진취성을 생각하면서 답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은 역시

Quantitative analysis

로 나왔다. 다른 사람들은 몇개씩도 나오던데 interest 라고는 딱하나다.
각 능력치(?)를 봐도 problem solving에 취우쳐져 있고 creative나 sensitivity 와는 거리가 멀다고 한다.

실망스러웠지만 Tool은 적절하게 설계된거 같다.

따라서 추천 Career는

   
Accounting []
Commercial Banking []
Institutional Securities Sales []

너무 딱딱하다.

그리고 무엇보다 대부분의 능력치(?)가 평균을 밑돈다. 이렇게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결국에는 그나마 위에 내용들이 낫다는 얘기다.
그래도 앞으로 집중적으로 보완할 부분은 나도 알고 careerleader도 안다.

"there is noting now but somthing after"

 

 

우유부단 test

of life l 2008. 2. 17. 23:53
우유부단을 정말 싫어 하는 성격임에도 스스로 우유부단함을 느끼며 반성할 때가 있다.

- 라면 끓일때 냄비의 물 양을 맞추며.. (조금 모자란거/많은거 아니야?)
- 이사가거나 대청소 할 때 한번도 사용한적 없는 물건을 버리며 (언젠가 필요한거 아니야?)

이러면 안돼 하면서 몇번을 왔다 갔다 한다.
1 2 3 4 5 6 7 8 ··· 11 
BLOG main image
cjlook`s expression
은 cjlook이 외치는 일상에 대한 표현입니다. Blog 형식이며 철저히 nonfiction입니다.
by cjlook

공지사항

달력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카테고리

expressions (165)
of media(Book, Movie.,,) (42)
of startup (18)
of life (105)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