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f media(Book, Movie.,,)

시나리오 전략

cjlook 2011. 11. 16. 08:45

도서관 장기 연체로 최근 책을 볼 수 가 없어 2년전 상으로 받았다가 멀리두었던 Peter Schwartz의 'the art of long view'를 꺼내 보았다.

지루하기만 할 줄 알았던 내용이 상당히 흥미로웠다.
시나리오를 통해 미래를 예측하는 tool에 대해서 저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한 내용으로 미래를 함부로(?) 예측하기를 좋아하는 성향이고, 앞으로의 비전도 이런 분야의 Tool이 꼭 필요한 상황이라 좀 더 깊숙히 공부하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Googling의 pdf 고급 검색의 신공으로 몇가지 논문이나 발표자료를 읽어 봤다.
논문을 정성들여 읽은 것은 졸업하고는 첨인듯... 몇가지를 정리 해보면 

과거 정보를 가지고 현재 수준을 Mapping !

tracking: Trends, Driving Forces, Uncertainties



Trends 유영화(Trends를 거를 필요)

- Predictability (얼마나 예측 가능한지).

- Impact on the focal issue (알고싶은 질문과 얼마나 영향성이 있는지) 



Analyzing(정보들을 분석)

-인과관계 루프: 지배적인 trends, 피지배적인 trends 구별


가장 영향력이 크지만 가장 불확실한 것을 찾는다.

à 여기서 시나리오를 뽑아냄 

시나리오 도출 - 가장 중요하고 불확실 한 변수 2개를 가지고 4가지 시나리오를 도출
 

Imaging -> Making Vision



Deciding Acting

Battle사의 Basic

핵심 이슈들을 명확히 하는 것(identifying issues)


1992년까지 유럽공동체는 단일시장 통합을 어느 정도까지 진전시킬 것인가?

- 통합된 유럽공동체 시장은 미국상품에 대해서 폐쇄적이 될 것인가?

- 통합된 유럽공동체 시장은 유럽 IT 시장의 성장과 경쟁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트렌드 분석(Trend Analysis) 
 
 
 
  
 
 

50개의 디스크립터들이 찾아내어 졌으면, 디스크립터가 미래에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에 대해 50개의 개별 리포트를 생산해야 한다.

Trend의 상호 연관성 분석

디스크립터의 3가지의 미래상을 제시할 수 있는 데 화페통합의 가능성의 미래상은 높음-중간-낮음으로,

럽경제 호황 여부의 미래상은 큰 호황-1988년 수준-퇴보로, 유럽의 문화적 통합 정도의 미래상은 빠르게 통합-천천히 통합-분열로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미래상이 1992년 시점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은 어느 정도인지를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하여 그 확률을 수치적으로 제시한다. 


결국 시나리오를 잡고 주요 gate를 설정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gate review를 하면서 전략을 펼치는 것이 해답이 아닐까?

상표 등록이라도 해두고 싶을정도로 흥미로운 분야를 발견해서 반갑다. 결국에는 접목이 문제겠지만.

cjlook